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스스로 성공으로 이끄는 체크리스트 '성공으로 가는 길'을 걷는 법 '독래독거, 독생독사(獨來獨去, 獨生獨死)'라는 말이 있다. 사람은 홀로 왔다 간다는 석가의 가르침이다. 또 사람은 본래가 고독한 존재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소중하게 여겨야 한다. 이것은 공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공부는 고독한 직업의 연속이다. 자기의 마음상태가 그대로 공부하는 자세에 반영되어 성과로 나타난다. 마음이 거칠다면 공부할 마음도 들지 않을 테고, 희망과 정열에 불타 목표가 분명하게 정해져 있다면 공부의 양은 풍성해지고 질은 높아져 성과도 희망한 대로 될 것이다. 인생의 성패는 당연히 자기의 마음을 따라가게 되어 있다. 인생에서 성공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
'피로하지 않은 뇌'를 만드는 5가지 방법 뇌를 피로하지 않게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1. 휴식을 취한다. 2. 아침을 꼭 먹는다. 3. 동체시력(動體視力)을 높인다. 4. 걷는다. 5. 릴랙스한다. 이 5가지다. 순서에 따라서 설명해보겠다. 1. 휴식을 취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근육은 트레이닝을 할 때 피로해지고 휴식과 영양을 취할 때 자란다. 뇌도 마찬가지로 24시간 한 순간도 쉬지 않고 며칠 동안 공부를 계속한다면 파멸해버릴 것이다. 잠 안 재우기 실험결과에 의하면, 100시간을 자지 않으면 환청, 환각이 생겨나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따라서 뇌의 기능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휴식이 꼭 필요하다. 가장 좋은 휴식방법이 숙면이다. 꼭 오래 잔다고 좋은 것은 아니지만 하루에 ..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스피드에 견디는 뇌력(腦力, 두뇌능력)의 단련 뇌세포가 줄어도 지혜가 느는 이유 근육의 초재생이론(超再生理論)을 알고 있는지? 근육은 트레이닝을 하면 근세포(筋細胞)가 피곤해져 손상을 입는다. 따라서 트레이닝 후 이틀 정도는 쉬어야 한다. 그 사이 영양의 보충과 근조직이 재생됨에 따라 트레이닝 전보다 더 근육이 증가하게 된다. 이 시기를 초재생기(超再生期)라고 한다. 운동선수는 그것을 목적으로 트레이닝을 하기 때문에 근육이 발달한다. 근육에도 휴식이 필요하고 그 휴식기에 근육이 자라게 된다. 다시 말해 덤벨이나 바벨로 운동을 했기 때문에 근육이 울퉁불퉁해지는 것이 아니라 휴식을 취했기 때문에 커지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는 20세를 피크로 서서히 활동이 쇠퇴한다고 알려져 있다..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플러스 사고는 생각을 가속화한다(자기 부정, 타자 부정, 전면 부정, 염불법, 범죄형 인간, 자기암시법) 놀라운 한 점 집중의 위력 바늘이 어떻게 천을 뚫고 가는지 생각해본 적이 있는지? 어째서 그렇게 된다고 생각하는가? 나는 바늘 끝 어느 한 점에 힘이 집중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비슷한 현상을 여기저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낙숫물이 바위의 어느 한 점에 계속 떨어지면 홈이 파인다. 좀 과장해서 말하면 낙숫물이 바위를 이기게 되는 것이다. 인간의 사고도 마찬가지다. 계속 한 가지로 생각하면 인생도 사고도 바뀔 수 있다. 가장 가까이에서 볼 수 있는 예가 염불이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을 되풀이해서 외우다 보면 사람 속에 내재해 있던 큰 힘이 발휘..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결과를 생생하게 상상하라 가장 원하는 것부터 실현된다 사람들은 희망을 안고 살아간다. 또한 그 희망을 어떻게 실현시킬까에 대해서 많이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방법을 소개한다. '결과선취법(結果先取法)'이 그것이다. 이것은 간단히 말해 희망이 이루어졌을 때의 이미지를 미리 그려보는 방법이다. '곧 이루어질 것이다.', '마치 이루어진 기분이다.' 등등의 이미지를 먼저 그려보는 것이다. 나는 이 결과선취법을 잘 사용하는 편이다. 때로는 너무 지나쳐 주위 사람들에게 빈축을 사기도 한다. 잘 될(또는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결과의 기분을 미리 앞당겨서 느껴보는 것은, 좋게 말하면 이미지의 힘과 영역이 풍부한 것이겠고, 나쁘게 말하면 신중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
’17년 경찰공무원 채용시험 계획 공고 2017년 경찰공무원 선발인원 및 시험일정 등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2016. 12. 13.경 찰 청 장 순경공채·101경비단/경찰행정학과·전의경 경력경쟁채용(2,928명)분 야인원(명)채용공고필기시험1차순경 공채男1,1002.10.(금)3.18.(토)女121전의경 경채150101 경비단120소계1,491명2차순경 공채男1,0767.28.(금)9.2.(토)女121경찰행정 경채120101 경비단120소계1,437명 기타 경력경쟁채용(322명)분 야인원(명)계급채용공고변호사20경감상반기(4월限)무도(형사)10순경화약전문5순경범죄분석(테러)5경장경찰특공대28순경항공12경위 8, 순경 4보안사이버12경장정보화장비2순경(소재디자인1, 기계금속1)사이버수사40경장선박안전3..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기분에 좌우되지 않는 공부법(머리를 개운하게 하는 방법, 일본어 마음 코코로) 기분을 잘 컨트롤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마음을 일본어로는 코코로(ココロ)라고 한다. 옛날에는 코로코로(コロコロ)라고 했다. 이것을 그대로 옮기면 "마음이란 데굴데굴 구르는 것처럼 변화한다."는 뜻이다. 나는 마음이란 날씨와 같다고 생각한다. 맑은 날이 있으면 흐린 날이 있고, 비 오는 날이 있으면 눈 오는 날, 바람 부는 날도 있는 것이 마치 우리네 마음과 같다는 의미에서 그렇다. 좀더 직접적으로 표현하면 마음이란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기분이 좋을 때도 있고 화가 날 때도 있으며, 욕심났다가도 곧 진지한 기분이 들 때도 있고... 일분일초도 같은 모습을 하지 않는..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기분에 좌우되지 않는 공부법(열등감 극복, 역이용, 틱장애, 말더듬이, 대인관계 어려움)열등감이 공부를 게을리하게 만든다 오사카 대지진과 같은 지진이 예전에 미국 LA에서도 일어난 적이 있다. 지진이 일어난 후 교육심리학자들이 아이들의 학습능력을 조사해보았다. 그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집중력, 기억력, 이해력 등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고 나와 있다. 오사카 대지진 후에도 똑같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LA 지진 때와 유사한 결론이 나온 것으로 기억된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보더라도 심한 스트레스나 심적 내상을 수반할 정도의 강한 충격은 우리들의 뇌력(腦力)을 감퇴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흔히 '무엇무엇을 잘 못하는 사람'이라는 말을 듣는 사람들이 있는..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실전에서 실력을 높이는 방법(중압감 제압하기, 멘탈 트레이닝)중압감으로 중압감을 제압한다1.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노력(연습)한다. 노력과 성과는 비례한다 - 이것은 절대적인 진리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받쳐주는 것은 이 노력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노력이 적으면 성과도 적고 노력을 많이 하면 성과도 크다. 공부의 세계도 마찬가지다. 합격하는 사람은 그에 맞는 공부를 하고 있는 것이다. 공부라는 것은 끝이 없는 것이어서 상한선이 있는 게 아니다. 하면 할수록 영역이 넓어지고 한계를 알 수 없는 것이 공부다. 그렇다고 해도 본인 스스로 시험과제를 충분히 했다는 만족감이 없다면 자신감은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사람과 똑같은 정도의 노력만으로는 진정한 자신감을 가질 수..
아침형인간의 초고속공부법 - 머리를 유연하게 만드는 방법(중압감에 강한 사람과 약한 사람) 왜 갑자기 사고가 정지상태에 빠지게 될까? 과거에 공부를 거의 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학시험을 보게 되었다. 마치 자신이 여행을 하면 반드시 날씨가 맑아진다고 근거 없이 믿는 사람처럼 나도 그와 흡사한 기대를 했었다. 여태껏 잘 지내왔는데 대학시험이 다가왔다고 이제와서 버둥거릴 필요가 있겠는가, 라는 생각에 시험장에 와서까지 스포츠 신문을 읽었다. 당연히 떨어졌다. 그러나 교훈은 하나 얻었다. "할 일은 반드시 해야 한다."는 당연한 결론을... 그렇지만 이것은 당시 내 나름대로의 릴랙스 법이었다. 일본이 월드컵에 첫 출전했던 1998년, 프랑스 대회에서 4전 전패를 했을 때의 이야기다. 어떤 선수가 슛에 실패했는데..
- Total
- Today
- Yesterday
- 도요토미
- 자기이미지
- 독래독거
- 기억
- 성공
- 시험대비형
- 고속공부
- 공부
- 염불법
- 결과선취법
- 시독
- 터득
- 초재생
- 긍적적
- 중압감
- 기억법
- 문제집활용법
- 반복효과
- 음독회로
- 독생독사
- 속근
- 공부법
- 병행공부
- 트레이닝
- 타자부정
- 속독
- 전면부정
- 숙독
- 기분
- 실전능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